-
[WEEK10]WILSW정글 2022. 1. 11. 10:22
Pintos 프로젝트 2주차 동안의 배운것.
2주차 프로젝트를 돌이켜보면, 시스템콜에 대해 1주일간 공부했다.
시스템콜을 공부하며, 내외부 인터럽트의 차이와, 시스템콜 호출되었을 때 모드변환에 대해 공부하였다.
커널모드와 유저모드에대해 공부하며 주소공간과 가상메모리에 대해 학습하였으며,
더 자세히 페이징, 세그먼트, TLB에 대해 알아보았다.
문맥전환에 대해 운영체제 3가지 이야기 책을 읽으며 좀더 자세하게 배울 수 있었다.
배운것에대한 질문리스트 정리!
<Q>
1. 시스템콜이란?
2. 내부/외부 인터럽트 차이에대해 설명?
3. 시스템 콜이 호출되었을 때 모드변환이 일어난다하는데, 모드변환에 대해 설명?
4. 주소공간, 가상메모리에 대해 설명?
5. 페이징, 세그먼트, TLB에 대해 설명?
6. 문맥전환이란?
7. 시스템 콜 중 read, write 부분 semaphore 부분 이용하는데, 그 이유는?
[프로젝트 설명]
https://seulgicoding.tistory.com/43
Project2: User Programs(introduction)
Introduction 이제 Pinto를 사용하여 작업하고 인프라 및 스레드 패키지에 익숙해지고 있으므로 사용자 프로그램 실행을 허용하는 시스템 부분에 대한 작업을 시작할 때입니다. The base code already suppor
seulgicoding.tistory.com
https://seulgicoding.tistory.com/44?category=985033
Project2 : Argument Passing
process_exec()함수 안에서 유저 프로그램을 위한 argument들을 설정하라 현재 Pintos는 아주 기본적인 기능만 갖추고 있다. 그래서 이번 Pintos 프로젝트의 목표는 PintOS가 user program을 적절히 실행하
seulgicoding.tistory.com
https://seulgicoding.tistory.com/45?category=985033
Project2 : SystemCall
Systemcall 시스템콜 ? 사용자 프로세스가 디스크 읽기와 같은 명령어를 실행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? 이 때 필요한 것이 **시스템 콜(System call)**이다. 시스템 콜은 운영체제가 제공하는 서비스에
seulgicoding.tistory.com
'SW정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WEEK12]WIL (0) 2022.01.25 [WEEK09]WIL (0) 2021.12.31 [WEEK08]OS시작 마음가짐 (2) 2021.12.23 [WEEK01] 특별한 과제 (0) 2021.11.19